자동차 급발진 원인 및 예방법

지난 시청 역 역주행 사고로 온 국민이 화들짝 놀란 사건이 있었습니다. 

운전자는 차량 결함에 따른 급 발진을 주장했지만 조사 당국은 운전 미숙으로 인한 사고로 규정 8월 20일에 운전자를 결국 구속 기소되었는데요. 이러한 자동차 급발진 사고는 차량운행 중 갑자기 일어나는 가속현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운전자는 물론이고, 보행자에게도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급발진이 발생하는 원인및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대처 방법에 대해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자동차 급발진 원인


자동차 급발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기계적 결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운전자가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엔진 제어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이는 제조 과정에서 결함이있거나 부품의 파손 등으로 오작동 하거나 전기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른 하나는 운전자의 작동 미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급발진 사고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숙한 운전 작동으로 인해 페달을 잘못 밟는 실수를 했거나 브레이크와 가속 페달을 혼동하는 등의 
오작동으로 인해 급발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운전자가 운전시 차량의 기어를 잘못 둔채로 운전을 하게 될 경우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서 급발진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다양한 이유로 인해 급발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지만,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는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 주변 시설에 몰고 오는 피해는 상당하기 때문에 주의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1-1. 운전조작 미숙

브레이크 페달을 가속 페달로 오인하고 의도치 않게 세게 밟게 되면서 발생하는 사고로 주로 잘못된 조작으로 인한 사고로 보고 있습니다. 

1-2. 기계적 결함

페달 시스템의 결함이나 고장으로 인한 급 발진 결함으로 주로 가속 페달의 고장이나 케이블 연결 문제, 엔진 제어 시스템의 오작동이 여기에 해당 될 수 있습니다. 

1-3. 차량의 결함 

전자 제어 시스템의 오류로 인해 엔진을 제어하는 유닛의 고장으로 센서가 오작동 하면서 발생하는 원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2. 자동차 페달 블랙박스를 통한 대처방법 






급발진 사고시 운전자는 차량의 결함을 주장하지만, 보험사들은 운전자의 조작미숙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상당 부분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운전자들은 자신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등장한 아이템이 바로 자동차 페달 블랙박스입니다. 

객관적인 사고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입증 자료로 유사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대비책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운전자가 아무리 목소리를 높여서 무죄를 주장한다고 해도 끄떡없는 제조사에 대한 자료 활용을 위한 자료로 쓰기 위함입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기록으로 남기 때문에 사고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중 어떤 페달을 밟고 있었는지에 대한 중요한 기록을 고해상도 비디오로 촬영하고 있다는 것이 무엇보다
가장 큰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1. 사고 원인 규명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서 사고 원인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가 됩니다. 


2-2. 운전자 보호

운전 조작 미숙으로 인한 사고라는 억울한 누명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2-3. 제조사 책임 규명

차량 결함을 주장하는 운전자들의 목소리에 끄떡없는 제조사에 증거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습니다. 

3-2. 고해상도 비디오 촬영
사고 발생 시 주변의 상황이 어떠했는지를 고해상도로 촬영하여 사고 전후의 상황을 명확히 합니다. 

3-3. 충격 감지 기능

충격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비디오 모드로 전환되어 녹화를 시작합니다. 

3-4. GPS 추적

차량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정확하게 추적하고 사고의 정확한 위치를 기록합니다.

3. 자동차 급발진 예방및 대처법 

하지만 페달 블랙박스를 달아 놓았다고 해서 안심할 수 만은 없습니다. 

김효범 소방청 중앙 119구조본부 신속기동팀장은 급발진 사고시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3-1. 정기점검 및 유지보수
차량 제조사의 권장 사항을 준수하고 제동 시스템과 가속 페달, 엔진 제어 시스템등이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고 있는지 유무를 확인하고, 시스템의 오작동을 줄이기 위해 습기와 먼지가 가급적 쌓이지 않도록 차량관리를 해야 합니다. 


3-2. 안전한 운전습관과 기술
운전자는 차량을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해서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제대로된 운전 기법과 급발진 상황에서의 대처법을 미리 익혀두어야 합니다. 차량 조작시 페달의 사용을 법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브레이크와 가속 페달을 절대로 혼동해서는 않됩니다. 

3-3. 대응 메뉴얼 
혹시라도 모를 급발진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는 안전 메뉴얼을 미리 숙지해 두었다가 진행을
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시키고, 주변 보행자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주의를 해야 하는데요. 급발진 사고의 증거를 수집하고 보험사와 협력하여 사고 조사를 진행해야합니다. 

우선 급발진이 발생하면 냉정하고 빠르게 판단을 해야하며, 손 주행 조작 장치인 스티어링을 유지한 채 발은 브레이크와 가속 페달에서 멀리 떨여져 있어야 합니다. 

또한 차량의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여 엔진의 힘이 차와 분리되어 추가적인 가속화를 방지하도록 해야 하며, 이때 중림 후에 차량의 제어를 잃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그럼에도 급발진이 멈추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아 차량의 속도를 감속 시켜 급발진을 해제 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앞 차량과의 간격을 유지하고 뒷 차량에게 신호를 미리 주어야 합니다.

최후의 방법으로는 엔진을 끄는 방법이 있는데, 엔진을 끌 경우 차량의 움직임이 갑자기 멈춤으로 인해 상황에 따라 위험을 몰고 있어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다음 이전